티스토리 뷰
성률과 음조를 중시하여,시 구의 평측(平仄),용운(用韵),전운(转韵),각 체재의 시의 성조에 대해 자세 한 연구를 하였다. △성령설(性灵说) 원매(袁枚)는 “성령설(性灵说)”의 창시자이다. 성령설(性灵说)의 이론핵심은 시가창작의 주관 조건의 각도에서 출발하여, 창작주체가 반드시 진실한 감정과,개성,그리고 시 재능 세 방면의 요소를 지녀야할 것을 강조하였다;이 세 가지 이론의 초석에서 또한 발전하여,창 작구상은 영감이 필요하고,예술표현은 마땅히 독창성 그리고 자연스러움을 지녀야 하고,;작품내용은 이와 달리 진실한 정감을 표현하는 것을 위주로 하고,감정이 기탁되는 예술형상은 융통성이 있고,신선하고,생동을 요구하 109 고;시가작품은 마땅히 사람의 마음을 감동시키고,사람으로 하여금 미감을 향유하는 것을 그 주요 기능으로 삼는 등의 예술주장이다.이로 인해 성령 (性灵)을 속박하는 “시교(诗教)”의 공리관점 및 당(唐)을 본받고 송(宋)을 모 범으로 하는 옛것을 모방하는 시풍을 반대해야 하고,학문으로 성령(性灵)을 대신하고,전고를 나열하는 고거시(考据诗)를 반대한다.하지만 시가창작이 마땅히 학문과 인공(人工)의 도움을 받는 것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기리설(肌理说) 청대(清代),건(乾),가(嘉)년간(年间)에는 이학이 만연하고,한대(汉代)고증 학이 성행하였는데,이는 문단에서 동성파(桐城派)가 창도한 “의리(义理),고 증(考證),문장(文章)”의 고문이론에 반영되고,그리고 시단에서는 곧 옹방강 (翁方纲))이 표방한 “기리설(肌理说)”에 반영된다. 그는 이(理)는 시가 마땅히 준수하고 나타내어야 하는 내용이고 그래서 이 (理)는 사람,사물,사건(事境)나아가 성음율도(声音律度)등 만사만물(万事 万物)의 근본이 된다고 강조한다.다음으로,이(理)는 마땅히 그 표현형식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데,즉 “문리(文理)”로서,모 편의 배치,장법,구법 및 낱 말을 골라 문장을 만드는 것 등의 기교를 사용하는 것이고,세밀함을 힘써 추구하고,면밀하지 못함을 반대하는데,예를 들면 기세를 쌓는 것과 어조와 음률의 변화,사실 묘사와 허구 묘사 등의 문제를 잘 처리할 것을 요구하는 것이다. 27.김성탄(金圣叹)의 소설평론은 주로 어떠한 주장이 있는가? 김성탄(金圣叹)은 중국 소설이론비평사상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고,그는 소 설평론을 고조의 단계로 올려놓았다. 그의 주장은 주로 《수호전(水浒传)》에 대한 평론을 통해 드러난다.개괄해 보면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소설은 현실을 비판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김성탄이 비평한 《수호전(水浒传)》은 명나라가 멸망하기 전에 완성되었는 110 데,그 시대는 바로 명 왕조의 정치부패,탐관오리의 전횡,백성들이 살 수 없는 시대였다.김성탄(金圣叹)은 현실을 목도하자,마음이 평온하지 못했고, 이로 인해 《수호전(水浒传)》중 반영된 백성의 고통스러운 생활과 드러낸 “관이 핍박하면 백성은 반기를 든다(官逼民反 )”의 진리에 대해,일정한 정 도의 이해와 동정을 가진다.그는 완소오(阮小五)가 말한 “지금 저 소송이라 는 것은 곳곳에서 털어내어 곧 백성들에게 해를 입힌다.하지만 한마디 말 이 시골에 내려오면,오히려 먼저 착한 백성의 집에서 기른 돼지,양,닭,오리 를 모두 다 먹어버리고,또 여비를 구해 그를 보낸다.(如今那官司一处处动 掸便害百姓,但一声下乡村来,倒先把好百姓家养的猪羊鸡鸭盡都吃了,又要盘 缠打发他 )”의 한 단락의 말 아래에 비평을 하면서 말하기를: “천고의 애도 하는 말이고,수호전이 지으진 까닭이다.(千古同悼之言 《水浒传》 之所以 作也 )”라고 하고,《수호전(水浒传)》의 창작동기와 백성이 박해를 받는 현 실을 연결시켜,작가가 용감하게 암흑을 폭로하는 정신을 찬양한다. △ 인물 형상을 소조하는 중요성을 강조한다. 김성탄은 《수호전(水浒传)》의 예술성취에 대해 치밀한 분석과 아주 높은 평가를 하고,특히 소설속의 인물형상의 소조 문제에 대해,세밀한 분석을 한다.그는 《수호전(水浒传)》이 사람들로 하여금 싫증나게 하지 않을 수 있는 까닭은,곧 그것이 각종 유형의 인물형상을 소조하여,성공적으로 각 인물의 서로 다른 성격을 묘사하였기 때문이라고 본다.“다른 책은 한 번 보고 나면 곧 그만두는데,오직 수호전만이,단지 보아도 지겹지 않다.그것 이 108명의 성격을 모두 묘사한 것에 다름 아니다.(别一部书,看过一遍即休, 独有《水浒传》,只是看不厌,无非为他把一百零八个人性格都写出来 )"라고 하고,“사람은 그 성정을 가지고,사람은 그 기질을 가지고,사람은 그 형상 을 가지고,사람은 그 소리를 가진다(人有其性情,人有其气质,人有其形状, 人有其声口)”,“하나를 제기하는 것에 근거하여,모두 옛날에 익숙한 것과 같다(任凭提起一个,都似旧时熟识 )”라고 한다.《水浒传》중의 인물은 비록 독자가 익숙한 것이 아니다,하지만,그것이 사회생활중의 각종 유형의 인물 의 형상과 본질 특징을 반영하였기 때문에,따라서 독자의 광범위한 연상을 불러일으킬 수 있어,이로인해 “모두 옛날에 익숙한 것과 같다(都似旧时熟 识 )"라고 한다. 111 △유명한 “동심설(动心说)을 제기한다. 인물형상 소조문제를 탐색할 때,김성탄은 한 논점을 제기하는데,“동심(动 心)”이라고 부르는데,우리는 그 것을 김성탄의 “동심설(动心说)”이라고 부 를 수 있다.소위 말하는 “동심(动心)”은 곧 작가의 “마음(心)”이 작품의 인 물과 정경 속으로 깊게 들어가는 것을 말한다.우리의 현대 말을 사용한다 면,바로 창작구상 때에 작가의 “상상”을 가리킨다.작가에 대해 말하면,상 상이 없으면 곧 창작을 진행할 수가 없다.작가의 창작은 상상력을 빌려야 하고,자신을 작품속의 인물과 정경에 침투시키고,심지어 자신을 잊는 것이 고,자신을 작품중의 인물로 변화시키는 것이다.희극 연극의 각도에서 말하 자면 “몸을 주인공으로 변화시킨다(化身于角色)로 말할 수 있고,창작 의 각도에서 말하자면 곧 작가는 어떤 인물을 묘사할 때,곧 자신의 상상이 작품 속에서 묘사 된 인물로 변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한 재능이 있 는 작가는,바로 풍부하고 발달한 상상력에 근거해야,비로써 사람을 감동시 키고 사람을 깊게 생각하게 하는 예술 형상을 창조할 수 있고,그가 묘사한 정경과 인물이 살아있는 듯 독자의 눈 앞에 펼쳐진다. 이 밖에 김성탄은 그의 《독제오재자서법(读第五才子书法)》의 한 글에서, 소설의 “문법(文法)”을 제기한다.예를 들어 구조,삭제,배치 등 “도삽법 (倒插法)” “협서법(夹叙法)” “초사회전법(草蛇灰钱法)” 대락묵법(大落墨 法)" “면침니자법(棉针泥刺法)”등등을 제기하는데,이는 소설 창작과 감상 에 또한 거울이 되고,선구적 작용을 한다. 112 Ⅴ.결 론 본 연구는 중국 문학 전문가들을 위한 전문적인 내용이라기보다는 중국 문학에 대한 개설서적인 내용을 소개했다.중국 고전 문학의 전문적인 연구 에 필요한 학술적인 용어에 대한 해설을 줄이고 일반적인 문화사적인 사실 들이 어떤 연관성을 갖고 있는지,혹은 중국 문학사의 변화를 초래한 주요 한 요인들이 현대적인 관점에서 어떤 방식으로 설명될 수 있는지 등의 포괄 적인 문제들을 다루었다. 이를 바탕으로 결론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중국의 역사적인 발전,곧 정치․사회 상황의 변화와 그 나라의 영 역의 변화에 따른 문학의 사적(史的)흐름의 변화를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우리는 서주(西周)초기의 중국의 강토(疆土)가 지금 우리가 보통 생각하는 중국보다는 훨씬 좁은 범위였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그리고 춘추시대 에 와서 중국의 역사 무대에 끼어들게 된 장강(長江)유역의 오(吳),월(越), 초(楚)나라의 대두가 중국문학사에 끼쳤을 영향도 무시해서는 안 될 것이다. 끝으로 진시황(秦始皇)의 천하통일이 지니는 문학사상의 의의에도 주의하여 야 할 것이다. 둘째,일정한 시대의 문학을 논함에 있어,그 시대의 작품이나 작가라고 얘기할 수 있는 조건은 무엇일까 한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대의 일정 한 시대의 작품이라 전하는 게 있다 하더라도 그것이 문학사상 그 시대의 작품으로서 가치를 지니기 위해서는 그와 비슷한 형식의 작품이 그 시대에 어느 정도 읽혔거나 그러한 작품의 제작이 조금이라도 유행되지 않았으면 안 될 것이다.대부분의 중국 고대문학 작품들은 이런 의미에서 그 작품의 문학사상(文學史上)의 시대를 다시 한 번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셋째,중국의 고대문학사에 있어서는 중국 고대의 모든 글이 그 연구 대 상이 될 수 있다.이것은 한편 이 모든 글이 정치사 ․ 사회사 또는 사상사 의 자료가 되기도 한다는 것을 뜻한다.그러나 이 자료들의 평가나 시대적 인 의의는 정치 사회나 사상의 입장에서 이들을 다룰 때와 완연히 달라야 할 것이다.예를 들면 《시경》속에는 적지 않은 서주시대를 대표할 정치․ 사회․사상 등에 관한 역사적인 자료들이 담겨져 있지만 이것들을 바로 서 113 주의 문학이라 할 수 있겠느냐는 것이다.그리고 국풍(國風)․소아(小雅)․ 대아(大雅)․송(頌)의 내용이나 문체가 서로 다른데 문학사적인 면에서 이들 을 어떻게 평가해야 하느냐는 것 같은 것이다.이런 경우 우리는 고대 중국 인의 문학의식을 바탕으로 그것들이 지니는 문학사상의 의의를 추구하여야 만 할 것이다. 넷째,일정한 시대의 문학을 논함에 있어 정치․사회․사상 등의 배경을 추구하는 것도 중요하지만,중국의 경우 작자․독자 및 한자와 그 서사 방 식과 그 시대 사람들의 문학의식 등이 종합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중어중국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후란강 이야기와 중일 전쟁 (0) | 2020.09.03 |
---|---|
중국현대문학사에 있어 중요한 여성작가 샤오홍 (0) | 2020.09.03 |
장생전, 전반부의 현실주의 묘사와 후반부의 낭만주의 수법 (0) | 2020.09.02 |
모란정, 인물의 내면 심리 단계적으로 뚜렷하게 그려 내 (0) | 2020.09.02 |
조씨고아의 정영과 공손저구 그리고 도안가 (0) | 2020.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