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7.“소문사학사(苏门四学士)”가 가리키는 것은 어떤 네 사람인가? 북송(北宋)시인 황정견(黄庭坚),진관(秦观),장뢰(张耒),조보지(晁补之)는 모두 대문학가 소식(苏轼)의 문하에서 나와,당시에 “소문사학사(苏门四学 士)”불렀다. 네 사람 중,황정견(黄庭坚)의 문학성취가 가장 높았는데,(그는)강서시파 (江西诗派)의 영수이고,그의 시는 소식(苏轼)과 같이 “소(苏),황(黄)”으로 나란히 불리었고,그의 사(词)는 진관(秦观)과 함께 “진칠황구(秦七黄九)”로 나란히 불리었다.그의 시는 형식과 체제가 함께 갖추어져 있고,내용은 풍 부하여,굳고 단단하며 매섭고,새롭고 힘있는 풍격을 지닌다.장뢰(张耒)또 한 시로써 유명했는데,그의 시는 사상성을 중요시하지만,그러나 예술형식 을 소홀히 하여 감동이 부족하다.진관(秦观)은 사로 유명했고,조보지(晁补 之)의 주요 성취 또한 사에 있었고,그는 호방사파(豪放词派)를 발전시켰다. 아래에 우리 황정견(黄庭坚)의 《우중등악양루이수 雨中登岳阳楼二首(비오 는 날 악양루에 오르다)》를 한 번 감상해보자: 황무지에 던져서 수없이 죽을 고비 겪고 검은 살쩍 반백이 다 된 채로 살아서 구당협의 염여퇴로 들어섰네 강남 가기 전에 미리 한 번 웃음지으며 악양루에 올라서 동정산을 바라보네 投荒子死鬓毛斑 生入瞿塘灩澦关 未到江南先一笑 岳阳楼上对君山 시내에 자욱이 비바람이 치는데 나 홀로 누각의 난간에 기대 보니 상아가 머리를 열두 갈래로 쪽졌구나 호수의 수면 위로 내려가 은빛 산 무더기 속에서 청산을 바라볼 수 없음이 애석하구나 42 满川风雨独凭栏 绾结湘娥十二鬟 可惜不当湖水面 银山堆裏看青山 18.육유(陆游)의 시가는 어떤 성공을 거두었는가? 육유(陆游)는 유명한 애국주의 시인이고,또한 중국시사(诗史)에서 가장 다작을 한 작가이고,그는 “시 없이 삼일을 보내면 심히 걱정된다(无诗三日 堪忧)”라고 할 정도로 열심히 창작을 하여,현재 모두 9.300여수(首)의 시가 존재한다. 육유(陆游)의 시는 대부분 간접적으로 금(金)나라 사람들이 중원(中原)을 침략했을 때의 민족모순과 계급모순의 첨예한 사회현실을 나타내고 있고, 또한 조금도 거리낌 없이 자신의 혈기와 내심을 표현한다.그의 이상과 현 실에 큰 차이가 존재했을 때,그는 상상과 과장의 수법,심지어 격정으로 가 득한 몽상을 빌어 국토를 회복하고자 하는 이상을 펼쳤다.따라서 그의 시 는 내용에서 현실주의의 기본 특징을 지녔을 뿐 아니라,또한 낭만주의 수 법을 적지 않게 지니고 있다.《서분(书愤)》이란 한 시에서 시인의 애국주 의 정서 및 그의 예술적 풍격이 지극히 잘 표현된다. 젊을 때는 어찌 세상일 어려운 줄 알았으랴 북으로 중원을 바라볼 때 기개는 산 같았지 누선을 타고 과주도에서 밤눈을 맞았었고 철마를 타고 대산관에서 가을 바람을 맞았었다. 변방의 장성이라 헛되이 자부하였구나 거울 속 노쇠한 살쩍은 이미 먼저 반백이 되었구나 는 진정 세상에 이름을 떨쳤으니 천 년동안 누가 필적을 할 수 있겠는가! 早岁那知世事艰, 中原北望气如山。 楼船夜雪瓜洲渡,铁马秋风大散关. 43 塞上长城空自许,镜中衰鬓已先斑. 出师一表真名世,千载谁堪伯仲间! 이 시는 육유가 관직을 파하고 고향에 한거할 때 지은 것인데,시에서 작가 의 경험과 느낌이 표현되고,작가의 청장년과 노년의 다른 두 시기의 운명 과 정감을 개괄하고 있고,이상과 현실의 모순을 두드러지게 묘사하고 있고, 영웅이 재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지경의 거대한 비분을 표현한다.전 시는 “분노(愤)”를 기본 어조로 하고,감정은 격앙과 강개로부터 침울과 비장함으 로 전환되어,우울함이 교차되는 기묘함을 지극히 다해,호소력을 풍부하게 지닌다. 19.문천상(文天祥)의 애국 시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문천상(文天祥)은 남송(南宋)의 재상이고 원(元에)항거한 장군이었고,유 명한 민족영웅이고 애국시인이다. 그의 시는 임안(临安)함락을 전환점으로 삼는데,전기는 비교적 평범하 고,후기는 두보(杜甫)의 현실주의 특징을 계승하고 있고,각 방면에서 남송 군민이 원나라 군대의 침략에 항거하는 역사적 사실을 반영하고,그들의 강 렬한 애국정신과 숭고한 민족기질을 나타내고,시풍은 침울하고 비장하다. 그 중에서 《과령정양(过零丁洋)》과《정기가(正气歌)》가 가장 유명하다. 구(句)마다 시인의 내심으로부터 나타난 시인의 드넓은 정의의 기상과 곧아 굽히지 않는 절개를 표현하여,후세의 지사와 사대부에게 거대한 영향을 미 친다. 문천상(文天祥)의《과령정양(过零丁洋)》을 보기 바란다. 고달픈 인생은 경전을 만나 비롯되고, 전쟁과 처량함 속에 목성이 네 바퀴 돌았다. 산하는 부수어져 바람에 날리는 버들솜, 내 신세는 떠돌아 비에 맞는 부평초 황공탄 어귀에서 두려움을 얘기했고 44 영정양 안에서 외로움을 탄식한다. 인생이란 자고로 누가 죽지않겠는가 일편단심을 남겨 역사책에 비추려하노라 辛苦遭逢起一经,千戈廖落四周星. 山河破碎风飘絮,身世飘摇雨打萍. 惶恐滩头说惶恐,零丁洋里叹零丁. 人生自古谁无死,留取丹心照汗青. 20.사(词)는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사词는 일종의 음악,가창과 결합된 새로운 형식의 격률시체(格律诗体)이 다.그것의 탄생과 형성은 음악과 시가의 발전 및 시와 음악의 결합 방식의 변천에 근거를 둔다. 수당(隋唐)시기,서역(西域)으로부터 전래된 음악은 점차적으로 한족(汉族) 의 전통음악과 융합되어,연악(燕乐)이 탄생된다.그것은 전통적인 “아악(雅 乐)”과 상대적으로 말해져,“속악(俗乐)”으로 불리게 되고,당시의 사(词)는 곧 이러한 새로운 음악의 악곡과 서로 결합된 가사(歌词)이다. 사(词)의 명칭은 곡조(曲调)와 상대적으로 말해진다.당대에는 “곡자사(曲 子词)”가 출현하는데,최초에 민간에서 유행하게 되고,예를 들면 현존하는 돈황곡자사(敦煌曲词词)중의 사패(词牌)는 비교적 대부분이 《채상자(采桑 子)》 、《남향자(南乡子)》 、《서강월(西江月)》 、《보살만(菩萨蛮)》등을 사용한다.문인 창작의 사(词)의 출현에 이르면,주희(朱熹)가 말한 것을 예 로 들면;“고대 악부는 단지 시에 불가하였는데,중간에 많은 기성(气声)을 첨가하였다,훗날 사람들이 이 기성(气声)이 소실되는 것을 우려하여,점차 적으로 실제 글자를 하나 첨가하였고,이로 곧 장단구(长短句),가 만들어졌 다.지금의 곡자(曲子)가 바로 이것이다.고악부는 단지 시가이지만,중간 에 많은 어기사를 끼워넣었는데,후대의 사람들은 그 어기사들을 잃어버릴 까 두려워하여,그 하나하나에 실자들을 첨가시켜서,드디어 장단구를 이루 었으니 지금의 곡자가 바로 이것이다(古乐府只是诗,中间却添许多气声,后来 45 人怕失了那气声,逐一添实字,遂成长短句,今曲子便是)”기성(气声)은 시가의 구 형식과 악곡의 구 곡조가 합해지지 않을 때,첨가해 이로써 양자를 조절 하는 허성(虚声)을 가리킨다.장단구(长短句)는 시와 음악의 형식상의 모순 을 극복한 것이다. 성당(盛唐)에서 시작하여,음악으로 가사를 정하고,또한 성률과 평측을 중요시하기 시작한다,예를 들면 이백(李白)의 《청평락(清平乐)》과 《돈황 곡자사(敦煌曲子词)》중의 여러 민간작품이 그것이다.중당(中唐)에 이르러 사(词)창작은 이미 점진적으로 풍조를 형성하여,유우석(刘禹锡)、백거이(白 居易)、왕건(王建)등의 사람들이 여러 작은 사(词)를 채워 넣었고,나아가 당 시에 적지 않은 민간사(民间词)는 곡조가 가지런하지 않을 뿐 아니라 성률 또한 서로 교차되는데,(이는)사(词)의 체제 형식이 이미 탄생되었음을 나 타낸다.말할 수 있는 것은,사(词)는 근체시의 성률 규칙 및 잡언시의 장단 구 형식의 기초를 수용하면서 형성된 것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