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이러한 류의 사(词)작품은 진관(琴观),이청조(李清照)등의 완약파(婉约派)사인(词人)에게 비교적 큰 영향을 끼친다. 다른 4분의 1의 작품은,사의 제재 개척 상에서 유익한 탐구를 했는데,예 를 들면,영사(咏史),영물(咏物),도시생활의 묘사,절기와 풍속,특히 30여 阕의 뜻을 표현하거나 포부를 적은 작품은,작가의 호방하고 호탕한 흉금과 관직의 풍파에 대한 깊은 감개를 묘사하여,의경(意境)이 드넓고 웅대하다. 《朝中措․送刘原父守扬州》는 이러한 류의 사(词)의 대표작이다: 평산 누각 난간은 푸른 하늘에 기대어 있고,산 빛은 (보이는 듯 보이지 않는 듯해)있는 듯 없는 듯하네.손수 집 앞에 버드나무를 심었으니,이별 을 한 후 몇 차례의 봄바람인가. 문장태수는,붓을 휘두르면 만 자가 되고,한 번 마시면 천 잔이었는데,즐 거움을 행하는 것은 마땅히 젊은이의 것,술잔 앞에서 보니 쇄락한 늙은이 만 보이네. 53 平山栏槛依晴空,山色有无中.手种堂前垂柳,别来几度春风. 文章太守,挥毫万字,一饮千钟.行乐直须年少,尊前看取衰翁. 첫 구에서 부각되기 시작하여,큰 기상이 웅혼하고,옛 지방에 대한 생각이, 깊어지면서도 가라않지 않는다;하편은 이와 달리 활달하고 원대하며,늙었 어도 쇠퇴하지 않는 포부를 표현한다.이러한 사(词)는 사실상 동파(东坡) 호방사(豪放词)의 서곡이다. 구양수 사풍(词风)의 점차 변화되는 추세는 후대의 광범위한 중시를 받는 데,청대(清代)풍후(冯煦)는 구양수 사를 “통달하고 심오함은 자첨을 열었 고,깊고 함축적인 것은 소유를 열었다(疏隽开子瞻(苏轼),深婉开少游(秦 观))”이라고 여기며,그의 송대 시단에 대한 작용을 충분히 긍정하였다. 26.소식(苏轼)은 사풍(词风)에서 어떠한 개척을 하였는가? 당송대(唐宋代)이후부터,사(词)의 대표적 풍격(风格)은 시종일관 남녀 간의 애정과 이별과 만남의 슬픔과 환희라는 둘레에서 변화되어 나오지 못 했는데,소식(苏轼)이 한 번 나오자,비로소 사단(词坛)의 백여 년간의 퇴폐 적 풍토가 변화되었고,사(词)의 의경(意境)과 표현수법을 크게 개척하여,송 사(宋词)에 새로운 국면을 열리게 된다. 소식(苏轼)은 사단(词坛)에서 새로운 풍조를 창조하고,소위 말하는 전통 적인 “시는 장엄하고 사는 요염하다(诗庄词媚)”라는 경계선을 타파하였다. 그의 창조는 명확한 목적성을 가지고 있었는데,왜냐하면 유영(柳永)이 당시 전통 사풍(词风)의 가장 명성이 높은 대표였기 때문에,따라서 소식(苏轼)은 사(词)를 지을 때,바로 의도적으로 유영(柳永)과 대립하면서 새로운 국면을 연 것이다.그는 《여선우자준서(与鲜于子骏书)》중 공개적으로 표방한다: “최근 오히려 자못 소사를 지었는데,비록 유칠랑의 맛은 없으나,또한 스스 로 한 유파가 되었다.(近却颇作小词,虽无柳七郎风味,亦自是一家)”.또한 유문표(俞文豹)의 《취검속록(吹剑续录)》에 기재된 것에 근거하면;“동파는 옥당일에 있을 때였다,어떤 노래를 잘 부르는 막사(幕士)가 있어,이로 물 었다.‘나의 사는 유칠과 무엇이 같은가?’대답하여 말하기를 ‘유중랑의 사는 54 단지 합해 열 입곱 여인네들이 홍아반을 잡고 버드나무 있는 강기슭 저녁 해는 어두운 데를 부릅니다.학자의 사는 반드시 변방의 대장부여서,동으로 만든 비파,철로 만든 작판으로,큰 강은 동으로 흐르네를 부릅니다.’동파는 그것으로 인해 매우 감탄하였다.(东坡在玉堂日,有幕士善歌.因问;‘我词何如 柳七?’对曰 ‘柳中郎词,只合十七八女执红牙板,歌杨柳岸晓风残月;学士词须 关西大汉,铜琵琶,铁绰板,唱大江东去.’东坡为之绝倒)” 후대 사람들은 이 기재에 근거하여,사(词)를 정할 때 두 파,유영(柳咏)식의 전통 사는 “완약 파(婉约派)”,소식(苏轼)풍의 사는 “호방파(豪放派)”로 하였고,소식(苏轼)또 한 “호방파(豪放派)”의 파를 연 사람으로 여겨졌다.이러한 관점은 문학사에 큰 영향을 주었다. 그의 초기 사(词)는,예를 들면 부춘강(富春江)칠리뢰(七里濑)를 묘사한 《행향자(行香子)》(“一叶舟轻”),전당호(钱塘湖)를 읊은 《서자고(瑞鹧鸪)》 (“碧山影里小红旗”),고향의 정을 펼친 《복산자(卜算子)》(“.客到江南”)등 은 모두 청아하고 빼어나며 맑고 깨끗하고,지은 뜻이 심원한 것을 특색으 로 삼아,전통적인 농염하고 섬세한 사(词)와는 다른 흥취를 드러낸다.이는 소식(苏轼)사(词)의 제 일 단계이다.제 이 단계에서부터,즉 희녕(熙宁)7 년(1074)에 밀주(密州)에서 황주(黄州)로 폄적되던 7년 간,사풍(词风)은 비 로소 “호방(豪放)”이라고 부를 수 있는 격조(格调)로 전환된다.그것의 조짐 은 《 밀주에 가며 아침 길을 가다 말 위에서 자유에게 부치다.(沁园春․赴 密州早行马上寄子由)》에 처음 보인다.이 사(词)의 하결(下阕)을 보기 바란 다. 그 해 모두 장안의 객이었지,육씨 두 형제가 갓 왔을 때 모두 젊은 것과 같았지.글은 천자를 단숨에 적고,가슴엔 만권의 책이 있었다네.군주를 요 임금과 순임금에 이르게 하고자 하는데,이 일이 왜 이다지 어려운가. 세상에 쓰이는 것은 그대의 시대이고,세상에서 물러나는 것은 내게 있다네, 소매에 손을 넣고 한적한 곳에서 바라보는 것도 무방하리,몸이 늘 건강하 고,그저 여행을 하며 생을 마감하는 것도 족하니 하물며 술잔 앞에서야 当时共客长安,似二陆初来俱少年.有笔头千字,胸中万卷.致君尧舜,此事何 难.用舍由时,行藏在我,袖手何妨闲处看.身长健,但优游卒岁,且头尊前. 55 의론(议论)을 사(词)에 넣었을 뿐 아니라,또한 경전의 글귀를 사용해 마음 을 펼치고 뜻을 말해,강개하고 호방하여,이는 앞 시대 사람의 사(词)에서 는 일찍이 없던 것이다.계속해서 호방사(豪放词)의 대표라고 칭할 수 있는 것은 다음해 겨울 지은 것인 《(江城子․密州出猎)》(“노인이 무료하여 젊은 이의 광기가 나다.老夫聊发少年狂”),희녕(熙宁)9년(1076)중추절에 지은 《수조가두(水调歌头)》(“달은 몇해 동안 있었는가 - 明月几时有”),원풍(元 丰)원년(元年)(1078)서주(徐州)에 부임하여 지은 《양관곡(阳关曲)》(“受 阳城下紫髯郎”),원풍(元丰)3년(1080)황주(黄州)에 있을 때 지은 것인《만 강홍(满江红)》(“ 江汉西来”)과 원풍(元丰) 5년에 지은 《念奴桥․赤壁怀 古》등은 일련의 인구에 회자하는 명편들이다. 소식(苏轼)은 “이시위사(以诗为词)”하여 “한가로이 술잔을 기울이며 낮은 소 리로 노래 부르다 천짐저창 (浅斟低唱)”한 곡자사(曲子词)의 속박을 노력 하여 벗어나고,사(词)를 악곡(乐曲)의 부속물에서 독립하게 하여,진정한 의 미에서 표현력이 더욱 풍부해진 일종의 운문체재가 되게 하였는데,이것은 소식(苏轼)의 가장 큰 공헌이다.소식(苏轼)의 영향하 에서 동시대의 북송 (北宋)사인(词人)예를 들면 황정견(黄庭坚),조금 뒤의 주방언(周邦彦)은 모두 사(词)의 한결같은 화려하고 협소한 풍격(风格)에서 벗어났고,사(词)의 의경(意境)과 정조(情调)를 풍부하게 하였다.남송(南宋)의 신가헌(辛稼轩)등 의 사인(词人)은 또한 사(词)의 서정적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하여,송대(宋 代)사단(词坛)의 화려한 발전을 가져오게 하였다. 27.진관(秦观)의 사(詞)는 어떤 특색들이 있는가? 진관(秦观)은 북송北宋 사단(词坛)의 거두이고,시가에서 여러 방면의 성 취를 얻었다:그의 통속적이고 사실적인 표현의 습관으로 인해 “진류(秦 柳)"라고 나란히 불리어지고;그의 완약사(婉约词)가 최고봉에 이르렀기 때 문에 “주진(周秦)으로 나란히 불리어지고;그의 사풍(词风)이 맑고 깨끗하 기 때문에 “후주(后主)이래 한 사람 뿐이다(后主以来一人而已)"등등으로 추앙된다.그의 창작 성숙기의 작품은 강렬한 진실의 감정 역량과 슬픔과 고통 그리고 비애의 감상색채로 충만하고,언어는 참신하고 유창하며,필법 56 은 함축적이고 섬세하다. 진관(秦观)사의 성취는 우선 언어예술 상에 나타난다.그의 언어는 참신 하고 유창하며,분명하고 거리낌이 없고,갈고 다듬는 공력의 특징을 지니고 있지만 전고나 난해한 글자는 아주 적게 사용한다.《강성자(江城子)》“서쪽 성 버드나무는 가볍고 여려졌다.(西城杨柳弄轻柔)"는 명쾌하여 막힘이 없 고,부(赋)속에 비유를 지니고 있고,하나의 기세로 관통한다.《완계사(浣 溪沙)》
'중어중국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국사 작가 신기질의 사의 특색 (0) | 2020.09.02 |
---|---|
답사행과 완랑귀, 만년 작품의 감정 역량을 직설적으로 분출하다 (0) | 2020.09.02 |
멀리 뻗어있는 봄풀, 추상적인 이별의 한 구체적으로 표현해 (0) | 2020.09.02 |
문학작품 돈황곡자사, 수당연악의 산물 (0) | 2020.09.02 |
북송시인 소문사학사 황정견과 진광, 장뢰 그리고 조보지 (0) | 2020.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