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육기는 이를 위해 “깊이 생각하여 두루 탐 색하고,정신은 천지사방을 치달으며,마음은 만 길의 높은 곳에서 노닌다 (耽思傍讯,精骛八极,心游万仞 )"가 필요하다고 여겼는데,즉 상상력을 충분히 발휘하는 것이다.구상을 통해,감정과 사물이 마음에서 맑아지고,서 로 융합되고,그리고 구상은 또한 “많은 말의 물방울을 기울여 토해내고,육 예의 향기로움을 씻는다.(倾群言之沥液,漱六艺之芳润 )”라고 하고,각종 유 용한 언어를 배치하여 표현되어야 한다. △배치구조 구상 후,곧 “뜻을 골라 부분에 배치하고,글을 고려하여 짝을 이루게 해야 한다.(选义按部,考辞就班 )"라고 하는데,문장의 배치구조를 고려하여,뜻과 글 양 방면에서 심열을 기울여 배치하여야 한다.그는 배치방식은 다양하여, 마땅히 내용으로부터 출발하여 적당한 형식을 찾아야 한다고 여겼다. 모든 창작과정에서,그는 이러한 목적에 도달해야 한다고 여겼다. “뜻(意)” 은 능히 정확하게 “사물(物)”을 반영하고, “문장(文)”은 완전하게 “뜻(意)” 을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육기는 비록 이러한 창작요령을 총괄하였지만,그러나 그는 창작중의 깊고 정밀하고 오묘한 부분은 단지 마음으로 이룰 수 있는 것이지,말로는 전하 기 어렵다고 여겼다.그는 영감이 오가는 정감의 상황에 대해 생동적인 묘 사를 하지만,그러나 원인을 해석할 수는 없었다. 19.유협(刘勰)의 《문심조룡(文心雕龙)》은 어떠한 작품인가? 유협(刘勰)의 《문심조룡(文心雕龙)》은 중국 문학비평사상 최초의 엄밀한 체계를 지닌 역사,논술,비평을 하나로 융합한 문학이론 전문저서이다.전 책은 상하 두 편으로 나뉘고,매 편은 25편이고,상편은 주로 문체를 논술하 고,하편은 주로 문학기술을 논하여,정교하고 아름다운 변려문으로 쓰여졌다. 첫 5편《원도(原道)》《징성(征圣)》《종경(宗经)》《정위(正纬)》《변소(辨 骚)》는,작가가 자칭 “글의 핵심(文之枢纽)"이라 칭하는,유협 문론 체계의 22 핵심이다,그 기본사상은 문과 도를 같이 중시하고,문장은 마땅히 유가 성 인의 경전을 법칙으로 취하는 본보기로 삼아야 되고,이러한 전제하에서 《초사(楚辞)》의 장점을 흡수하여야 한다고 한다.이는 즉 사상내용 및 그 것의 정치교화에 대한 적극적인 작용을 고려할 뿐 아니라,또한 외재형식의 미감특징 또한 주의를 하여,풍격 상 기이함과 정도가 서로 혼합되고,화려 함과 실질이 같이 풍부하게 하는 것이다. 제 6편에서 제25편까지는 문체론으로,각 체의 문장을 운이 있는 문장과 운 이 없는 문장의 두 큰 부류로 구분한다.《명시(明诗)》에서부터 《해은십편 (谐隐十篇)》까지는 각종 운문이 있는 문장을 논술하고,그 중에서 《잡문 (杂文)》과 《해은(谐隐)》 두 편은 운이 없는 글을 같이 가지고 있다.), 《사전(史传)》에서 《서기(书记)》까지는 각종 운이 없는 문장을 논술한다. 모든 문체론은 30여 종류의 문체를 중점적으로 논술하고 또한 기타 많은 종 류를 언급하는데,모두 합해 170종 이상에 이른다.문체론 각 편의 창작 체 제는:“기원으로부터 시작해 결론을 드러내고(原始以表末 )”는,이 체의 문장 의 근원을 서술하고;“명칭을 해석해서 내용을 분명히 하고(释名以意义 )”는 이 체의 문장 명칭의 함의를 해석하고, “좋은 글을 선별해 모범이 되는 편 을 정한다(选文以定篇 )”는 이 체의 문장의 대표작가와 작품을 열거하여 논 평을 가하고(이부분의 분량이 가장 많다);“이치를 부연해서 조리있게 열거 한다(敷理以举统 )”는,이 체의 문장의 창작원칙과 기본 특색을 서술한다. 이 20편 문체론 중에서,유협은 역사발전의 관점을 줄거리로 하여,작가와 작품 평술을 중심으로 해서,상고시대부터 육조에 이르는 수천년 간의 문학 사 자료를,비교적 완벽하고,고대를 계승하여 후대를 발전시키는,내재적 관계가 있는 각종 문체의 발전을 구성해내었다. 《문심조룡(文心雕龙)》하편 25편에서,마지막 한 편 《서지(序志)》가 작가 창작의 원인 및 취지를 논하고 나아가 전 책의 내용과 체제 등을 개괄하고 있는 것 외에,기타 24편에서 토론한 것은 모두 이론방면의 전문문제이고, 언급한 범위가 아주 넓을 뿐만 아니라,또한 분석도 아주 세밀하고 깊고,의 론은 정밀하고,사유는 심오하다.《신사(神思)》부터 《총술(总術)》 19편에 다 《물색(物色)》을 더한 모두 20편은 창작론으로,창작 각 방면과 관계된 문제,중대한 창작원칙에서 구체적인 창작방법을 토론하고 있다.예를 들면, 예술구상과 작품풍격 그리고 작가개성과 내용과 형식,계승과 창조,문학과 23 시대 및 사회 정치 환경,뜻의 정련과 글의 연마,구조와 편의 구성 등등을 들 수 있다.《시서(时序)》,《채략(才略)》 두 편은 문학사와 작가론으로, 역대문학과 유명한 작가를 간략하게 논평과 서술을 하고 있다.《지음(知 音)》,《정기(程器)》두 편은 문학비평방면의 문제를 토론하고 있고,문학비 평의 방법론을 초보적으로 세우고 있다. 유협은 상편 “강령(纲领)”으로 나열하고,하편은 “모목(毛目)”로 되어있고, 강령은 열거하고 목차는 펼쳐,각종 문학체제를 분석하여,비로소 적당하고 합당하게 창작방법을 총괄해내었다.목차는 정립되고 강령은 명확하여,문장 의 창작방법 또한 문장에 대해 촉진적 작용을 끼친다. 20.사공도(司空图)의 주요관점은 무엇인가? 만당(晚唐)사공도(司空图)의 《시품(诗品)》은,종영(钟嶸)의 《시품(诗品)》 과 구분을 편리하기 하기 위해,습관적으로 《이십사시품(二十四诗品)》으로 부른다.그것은 시가예술상의 탐색에 착안을 하여,시를 “웅혼(雄浑)” “화려 함(绮丽)” “함축(含蓄)” “광대(旷大)”등 이십사 개의 품격으로 구분하고, 매 품격은 사언 십 이구의 한 수의 시가를 사용하여 표현하고,시가이론연 구사에 새로운 국면을 열었고,일종의 특수한 체제를 창조하였다. △시가의 창작개성화,예술 다양화 작가는 시의 형식,형상화된 비유로써,시가의 서로 다른 풍격과 의경을 표 현한다.사공도는 “웅혼(雄浑)”과 “호방(豪放)”을 좋아했을 뿐 아니라,또한 “화려함(绮丽)”와 “섬세함(纤穠)”을 찬미하였고,그리고 “전아(典雅)”, “충담 (冲淡)”, “표일(飘逸)”의 여러 종류의 풍격을 찬미하였고,더욱 극진하게 추 종한다.생활은 풍부하고 다채로운 것으로,형상으로 생활을 반영한 시가는 자연 천태만상이어서,예술풍격은 당연히 “한 격식에 구속 되서는 안 된다. (不拘一格)”.창작개성을 지녀야하고,예술풍격은 다양해야,시가는 자연히 예술매력이 풍부하게 된다. 24 △한자를 덧붙이지 않고,풍류를 다 드러낸다.(不着一字,盡显风流 ) 작가는 형상사유의 “얕고 깊고 합해지고 흩어지는(浅深聚散)”을 통해,“하나 를 거두어 취할 수 있는(可取一收 )”의 의상에 도달하고,“함축(含蓄)”등의 예술 수단을 사용하여,남은 맛을 남김이 없는 시가 의경을 창조할 것을 요 구한다.창작 중에,감정과 풍경의 융합을 가능한 이루도록 해,형식은 떠나 도 정신은 진실하게 된다. 25 Ⅲ.당․송 시대 고전문학의 개화 1.유종원(柳宗元)의 산수산문(山水散文)은 어떤 예술적 성취가 있는가? 산수산문(山水散文)은 유종원(柳宗元)으로부터 시작된 것은 아니지만 그는 문장에 독창성을 낼 수 있었으며,인간으로 하여금 신의 경계(境界)를 왕래 할 수 있도록 개척했고,각화산수(刻畵山水)의 명수로 유기산문(游記散文)의 종사(宗師)가 되었다. 유종원의 산수유기(山水散文)의 수량은 많지 않으나 거의 대부분 우수한 작품이다.《우계대(愚溪對)》에서는 염계자황(冉溪自况),풍자와 욕설이 모 두 문장으로 되었으며,《유주산수근치가유자기(柳州山水近治可游者記)》는 전문(全文)이 일의 경과를 서술하였는데 왈가왈부하는 감개(感慨)를 드러내 지 않았고,담탕풍아(淡宕風雅)독특한 풍격을 지닌다. 《유황계기(游黃溪記)》는 고화(古畵)중의 편폭이 긴 산수화와 같이 사람 을 사로잡아 넋을 잃게 만든다.당연히 대표성을 가진 것은 작가가 영주사 마(永州司馬)로 강등된 시기에 쓰여진《영주팔기(永州八記)》이다.
'중어중국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보의 사걸 칭찬과 비방한 사람들에 대한 비웃음 (0) | 2020.09.01 |
---|---|
영주팔기와 시득서산연유기 그리고 고모담기 (0) | 2020.09.01 |
안자소초의 감동적 예술적 매력 (0) | 2020.09.01 |
고시십구수 동한 후기 무명씨 오언시 (0) | 2020.09.01 |
시경 작품의 성질과 악조 그리고 토속 가요 (0) | 2020.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