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영주팔기(永州八記)》는《시득서산연유기(始得西山宴游記)》, 《고모담기(錮모潭 記)》, 《고모담서소구기(錮모潭西小丘記)》,《지소구서소석담기(至小丘西小 石潭記)》,《쇠가갈기(衰家渴記)》,《석거기(石渠記)》,《소석성산기(小石城 山記)》를 포함하고 있다.그 작품들은 한 장면 한 장면이 영주의 아름다운 경치를 재현했으며 쓰여진 경물(景物)은 적으나 도리어 문장은 용광로 속에 서 단련되어 청색이 되어 진짜 금으로 만들어진 것처럼 보였다.작품은 완 전한 아름다움의 경물 묘사와 감정 토로가 융합되어 있다.산수각화(山水刻 畵)중에는 작가의 감정과 품성이 배어있다.이것은 작가가 직위가 강등되고 여행을 하면서 일면 위안을 찾고 또 다른 일면은 일종의 특수 투쟁이었다. 그는 “웃음 속에 화를 내는 것이 눈을 부라리며 화를 내는 것보다 더 노하 는 것이며,길게 노래하며 슬퍼하는 것이 통곡보다 더 슬프다.(嬉笑之怒,甚 乎裂眦:長歌之哀,過乎慟哭.)라고 했으며,또한 작가는 만물의 변화와 합치 26 하는 (与萬化冥合)통달함 속에서 소리 없는 비통함을 지니고 있다.맑은 계 곡과 솟아나는 샘,기봉괴석(奇峰怪石),그윽한 대나무 숲들,이것은 바로 작 가가 굳굳하게 서서 시류와 함께하지 않음이 찬란하게 빛난다.작가는 이러 한 심정으로 매 산수마다 자세히 묘사하고,허실상생(虛實相生),동정결합(動 靜結合),하나의 돌조차 모두 글로 살려냈으니,그의 짧은 산수정취는 무한 하고 뛰어난 예술경계에 도달하였다. 2.구양수(歐陽修)는 산문(散文)발전에 어떠한 공헌을 하였는가? 북송(北宋)중엽의 시문혁신 운동은 새로운 역사 조건 아래에서의 중당고 문운동(中唐古文運動)의 발전이라고 말할 수 있으며 그것의 영도 인물이 구 양수였으니 송대(宋代)의 한유(韓愈)라고 불린다. 북송(北宋)개국 100년이 지나도록 문장 체제는 여전히 오대(五代)의 여습 (余習)인 병사려구(騈辭儷句)를 따르고 있었다.구양수는 과거에 급제한 후 윤수(尹洙),매요신(梅堯臣)등과 함께 실제적이고 소박한 시문을 쓰고 수정 하며,한유의 문집을 수정 편찬하고 확대해서 고문운동(古文運動)을 전개하 기 시작하였다. 구양수는 한유의 문학혁신 이론을 계승․발전시켰으며 ‘문(文)’의 결정작 용을 강조․대비하여 ‘도(道)’를 강조했고,‘도(道)’를 내용,금과 옥으로 ‘문 (文)’을 형식 즉,금옥(金玉)의 광휘(光輝)라고 여겼으며 문장의 내용이 형식 을 결정한다고 하였다.도의 기초 위에서 표현의 완전한 미를 추구하는 것 이다.그의 ‘도(道)’는 또한 현실의 정곡을 찌르는 것을 요구하여 감정이 있 으면 드러내는 것을 말한다. 창작 중에 구양수는 다방면의 성취를 이루었는데 특히 산문(散文)부분에 서 큰 성취를 이루었다.그의 산문은 평이하고 막힘이 없으며 완곡한 각종 자태의 풍격(風格)을 세웠는데 고대 산문의 신국면을 열었다.감정을 표현하 여 경치를 쓴 산문,예를 들어 저명한 《취옹정기(醉翁亭記)》는 아름다운 필체와 유창한 언어로 산간(山間)의 사계절과 아침 저녁의 풍경,1인과 태수 와의 유락 장면을 묘사했는데,구속을 벗어나 조용하고 한적한 정취를 표현 하였고 짙은 서정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신오대사․령관전(新五代史․伶 官傳)》같은 의론문(議論文)은 후당(后唐)의 장종(庄宗)이 천하를 얻고 잃는 27 전형적 사례를 통하여 국가의 흥망성쇠가 천명(天命)에 기인하는 것이 아니 고 인사(人事)의 도리에 기인함을 설명하고 있다.간단 명료하고 생동감 있 는 서술은 심오한 내용을 알기 쉽게 표현해서 비록 글은 짧으나 사람을 반 성하게 한다.예를 들어 명대(明代)의 귀유광(歸有光),청대(淸代)의 동성파 (桐城派)와 같이 중국 문학사에서 그는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3.“삼소(三蘇)”의 산문(散文)은 어떤 특색이 있는가? “삼소(三蘇)”란 북송(北宋)의 문학가 소순(蘇洵)과 그의 두 아들 소식(蘇 軾),소철(蘇轍)을 지칭하는데 삼 인 모두 높은 문학적 성취를 이루었고 그 중에서 소식이 가장 저명하다. 소순은 글을 지을 때 《전국책(戰國策)》을 주요 본보기로 삼았는데 책론 (策論)과 경륜이 뛰어났으며 또한 현실과 결합할 줄 알았다. 그도 역시 문장의 형식을 비교적 중시하였는데 특히 문장 전체의 기세와 수사 수단을 중시했다.비유를 잘하는 것이 그의 큰 특색이다.그는 소식형 제의 산문에 직접 영향을 미쳤다.소식은 구양수(歐陽修)를 계승한 후 송대 (宋代)고문운동(古文運動)의 또 한 사람의 영수(領袖)가 되었다.그의 산문 은 웅건분방(雄健奔放)하고 자유자재로 글을 쓰는 것으로 특색을 삼는다.예 를 들면 “만개의 샘물이 용솟음치고(萬斛泉源)”행운유수(行云流水)하는 것 같다.“문리가 자연스럽고 자태가 무성하게 살아나는(文理自然,姿態橫生)” 것과 같다. 소식은 문체에 뛰어난 고문의 대가이다.그의 《책략(策略)》,《책별(策 別)》 등 정론문(政論文)과 《한비론(韓非論)》,《가의론(가誼論)》 등 사화 문(史話文)은 글이 글자로부터 자유롭고 논변이 도도하고 신의를 잃지 않아 소순의 의론문(議論文)과 서로 비슷하다.그의 정태당각기(亭台堂閣記)와 책 의 서(書)는 가치가 매우 높고 《초연태기(超然台記)》,《방학정기(放鶴亭 記)》,《릉허태기(凌虛台記)》 등은 모두 다 정대기(亭臺記)로 서로 같으나 서술 구조는 같은 가운데 서로 다르다.수필 소품은 손 가는 대로 자연스럽 게 쓰여지는데 진정이 드러나서 모두가 산문 중의 정품이다.그의 전후 《적벽부(赤璧賦)》는 천고의 절창으로 서정,서사,풍경 묘사,설리(說理)를 녹여 일체가 되었다.소식은 산문의 발전에 특출한 공헌을 하였다.소철에 28 관해서는 소식이 그를 평하기를 “양양하고 담박하며 한 번 노래하면 세 번 감탄하는 목소리를 가져 빼어나고 뛰어난 기세는 마침내 없을 수가 없다.(汪 洋淡泊,有一唱三嘆之聲,而其秀桀之氣,終不可沒)” 양양담박하고 아름답고 걸출한 것이 그의 특색이다.그의 정치,사론은 비록 부모․형제의 도에서 나왔으나 정치 혼란의 득실을 깊게 토론하는 것을 주로 삼았다.그러나 권 모술수와 임기응변의 말을 적었다.문장은 명백히 명쾌하고 매끄럽고,온화 하고 느려 안으로 수련하는 측면을 가졌다. 삼소,그 중에서 특히 소식의 문장이 광범하게 전해지고 있으며 중국문학 사에 중요한 지위를 점하고 있다. 4.“초당사걸(初唐四杰)”은 어떤 4인의 문학가를 지칭하는가? 초당사걸(初唐四杰)은 당나라 초기에 굉장히 유명했던 사대 문학가 :왕 발(王勃),양형(杨炯),노조린(盧照隣),낙빈왕(駱宾王)을 말한다. 초당의 시단은 제양 궁체시 (济梁 宫体诗)의 영향을 받아서 대부분이 풍 화설월(风化雪月)을 다뤘고,또한 당 태종의 기호를 맞추기 위해 문인 사대 부들이 경쟁하듯이 서로 모방을 하여서,시어들이 아름다움만을 추구하는 경향을 보였다.이렇게 비단으로 착각되게 부드럽고 고운 시가 일세를 풍미 하고 “상관체(上官体)”라고 지칭되었다. 왕발(王勃)은 제일 먼저 이런 옳지 않은 흐름에 반기를 들고일어났고,이 어서 양(杨),노(盧),낙(駱)이 차례로 호응했다. 사걸(四杰)은 당시(唐诗)의 발전에 커다란 공헌을 했다. 우선,그들은 “상관체(上官体)”의 울타리와 부딪혀 시를 좁은 궁정에서 넓 은 사회,장엄하고 아름다운 산수,슬프고 처량한 변경으로 옮겼고,시의 제 재를 개혁하였고,시에 새로운 생명력을 부여해 강건하고 활발한 시풍을 열 었다. 그리고,오언율시의 기초를 다지기 위해서,칠언고시의 발전이 성숙하도록 도왔다.오언율시라는 방식은 사걸의 작품 숙에 충분히 발휘되었고 점점 고 정되어갔으며,대표작품으로는 양동의 《종군행(从军行)》,낙빈왕의《재옥 영선(在狱咏蝉》.칠언고시는 당대에 이르기까지 계속 흥했고,사걸은 칠언 29 고시를 성숙하도록 도왔으며 노조린(盧照隣)의 《장안고의(长安古意)》,왕 발(王勃)의 《임고대(臨高臺)》등이 그런 작품이다. 초당사걸은 중국 문학사에서 옛 것을 계승하고 계속해서 후대를 열어주는 작용을 하였다.
'중어중국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왕유 백석탄, 여러 가지 색채를 시 안에 녹이다 (0) | 2020.09.01 |
---|---|
두보의 사걸 칭찬과 비방한 사람들에 대한 비웃음 (0) | 2020.09.01 |
육기 상상력 충분히 발휘와 문장의 배치구조 고려 (0) | 2020.09.01 |
안자소초의 감동적 예술적 매력 (0) | 2020.09.01 |
고시십구수 동한 후기 무명씨 오언시 (0) | 2020.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