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Ⅰ.서 론 1.연구의 목적 중국 문학의 역사는 유구한 중국의 역사만큼 두텁고 다양하다.그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중국 문학사를 연구한 많은 책과 연구논문이 출판․발표되 고 있다. 그러나 이들 문학사들의 대부분이 중국 사람들의 전통 문화에 대한 선입 견으로부터 크게 벗어나지 못한 입장에서 문학사의 전개를 파악하고 있다. 그것은 고대 문학사의 경우 더욱 두드러지는 경향이 있다.중국 고대 문학 에 있어서는 거의 모든 작품의 완성 연대와 작가의 생애가 분명하지 않는데 도,대체로 지금 전해지고 있는 고대의 작품을 중심으로 그대로 그 시대의 문학을 이해하고 문학 발전의 흐름을 파악하려 하고 있다는 것이다.심지어 는 그 시대의 문화적인 성격이나 작품을 쓴 작가들이나 그것을 읽은 독자들 의 사회적 성격 및 작품을 쓰는 방법 같은 것에 대한 고려도 매우 소홀한 듯하다. 중국 문화와 문명의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 문학의 전통이란,사 실 객관적으로 지적할 수 있는 고정된 내용을 가지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또,무엇이 중국의 문학적 전통인가,무엇이 중국의 문학을 특수하게 만드는 가에 대해서는 많은 논란이 있을 수 있다.실제로 전문가들이 서술한 중국 문학에 대한 저작과 논문에서도 많은 견해 차이를 확인 할 수 있으며,중국 인들 스스로의 생각도 다양하다. 중국 문학의 발달 과정에서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했던 고전시(古典詩)에 대해서 논의할 때 당시(唐詩)를 최고의 위치에 놓는 것이 일반적이지만,경 우에 따라서는 송시(宋詩)를 더 높이 평가하기도 한다.청 왕조 초기의 문단 을 주도했던 전겸익(錢謙翼)과 오위업(吳偉業)은 각기 고전시의 모범을 송시 와 당시라고 주장하여 종송파(宗宋派)와 종당파(宗唐派)의 출발을 이루었다. 이와 같은 사실은 중국의 문학적 전통에 대한 논의가 엄정한 객관성에 입각 하여 이루어지기 어려움을 잘 말해준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요소들을 고려하며 일반적인 문화사적 사실들과 2 문학사적 사실들이 어떠한 연관성을 갖고 있는지,혹은 중국 문학사의 변화 를 초래한 주요한 요인들이 현대적인 관점에서 어떤 방식으로 설명 될 수 있는지 등의 포괄적인 문제들에 비중을 두었다. 여기에 제시한 내용들만으로는 중국 문학의 전통을 아우르기는 어렵지만, 다른 문화권의 경우와 구별되는 독특한 면모를 파악하는데 길잡이가 될 수 있을 것이다.물론 본 연구에서 소개하는 내용 외에도 많은 내용이 덧붙여 질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연구는 문학의 주체를 부각시켜,서술의 중심을 작가와 작품에 두고, 중요작가와 작품을 부각시켜 중국 문학의 전체 역사를 소개하는데 그 목적 이 있다. 3 Ⅱ.고대 중국 문학의 발달 1.《상서(尙書)》는 문학사에서 어떠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가? 《상서(尙書)》는 중국 최초의 역서 서적 중의 하나이자,중국 산문의 근 원이다.《상서(尙書)》의 내용과 형식 모두 후세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우선,《상서(尙書)》로부터 중국 산문의 표현 수준이 빛나고 풍부해졌으 며,구체적이고 살아 움직이기 시작했다.예를 들어 《고명(顧命)》편에서 나온 강왕(康王)의 즉위의식에 대한 서술은 굉장히 상세하다.《금등(金 滕)》편에 나온 주공(周公)의 뜻에 관한 서술은 구슬픔으로 사람을 움직이 며,《반경(盤庚)》편의 언어는 설득력이 풍부하고 감정이 충만하다. 다음으로,《상서(尙書)》의 언어와 사실 기록은 후대의 많은 역사 산문과 제자(諸子)산문에 인용되었고,간결하고 질박(質朴)한 문체 역시 후세의 본 보기가 되었다.거짓되고 내용이 없고 아름답기만 한 문학이 유행할 때마다 학자들은 종종 《상서(尙書)》를 기준으로 교정하곤 했다. 또한,《상서(尙書)》의 산문 문체는 후세에 일정한 영향을 미쳤다.《상 서(尙書)》중의 문장은 모두 6가지의 문체가 있었다.전(典),모(謨),훈(訓), 고(誥),서(誓),명(命)모두 후세에 의해 모방되었다. 그러므로 상서(尙書)는 중국 고대 문학의 발단이며,중국 문학사에서 가 볍게 볼 수 없는 위치에 있다. 2.《사기(史記)》의 문학적 공헌도는 어떠한가? 사마천의 《사기(史記)》는 중국의 최초의 기전체 통사(通史)이다.또한 하나의 문학적 걸작이고,중국 문학의 발전에 커다란 공헌을 한 작품이다. 4 1)중국 전기문학의 기초를 확립 《사기(史記)》는 인물 묘사를 중심으로 한 전기의 형식을 만들어냄으로 서,중국 전기 문학에 기초를 세웠다.《사기(史記)》이전,사람의 언행에 관 한 서술은 종종 표현양식 제재의 한정 때문에 흩어지기 쉬었지만,사마천은 사람의 작용을 중시하여 인물을 역사의 주체로 보고 역사 인물전을 썼다. 예를 들어 《사기(史記)-오자서열전(俉子胥列傳)》은 바로 오자서를 중심으 로 하여,소재를 집중하고,완벽하게 오자서의 일생을 그려냄으로서 체계적 으로 “전설속의 인물은 천고를 간다(傳畸人于千秋)”라는 것을 보여줬다. 인물의 전기를 쓸 때,어떠한 기법을 이용하는가?우화나 소설과 같이 허 구적이어서도 안되고,생활을 그대로 인용해서도 안된다.인물의 성격과 특 징을 근거로 해서 신중히 소재를 고르고 세심하게 가공을 해서 교훈을 이끌 어 내어 시대의 폐단을 엄격히 바로잡아야 하는 것이다.사마천이 전기를 쓸 때에는,역사학자의 사실을 밝혀내는 정신과,문학가의 고심어린 이야기 를 끌어가는 모습이 함께 있었다. 간략하게 말하자면 사마천은 기전체를 개창하였고,역사서 집필상에만 업 적이 있는 것이 아니라 전기 문학상의 기초를 확립하였다. 2)질박(質朴)한 언어와 첩구의 이용 사기(史記)의 언어는 매우 특색이 있어서 반고(班固)가 서한인(西漢人)을 총결하면서《사기(史記)》를 평가한 걸 보면 “사리에 밝고,논리적이되 화려 하지 않으며,순박하되 저속하지 않다(善序事理,辨而不華,質而不俚)”라고 말했다. 사마천은 섭리와 서정에 밝았고,표현과 묘사가 남김 없었으며,순박했지 만 통속적이지는 않았다.그는 민간가요와 속담을 인용하는데 능했다.예를 들어 금품수수로 얼룩진 흑막정치를 비판할 때 “천금을 가진 자는 죽지 않 는다.(千金之子,不死于市)”라고 말했으며,생활의 진리를 뭉뚱그려 말할 땐, “덕이 있는 자는 가만히 있어도 그 덕을 사모하며 그를 따른다(桃李不言,下 自成蹊)”라고 말하는 등 모두 세심하게 다듬어져 적절하게 사용되었다. 사마천은 모종의 감정을 토로하여,한 관점을 강조하는 것을 겹친 말(重 言)과 중복 구(疊句)를 써서 표현하는 데 능하였다.흉노전(匈奴傳)에서 한무 제의 사람 쓰임이 옳지 않았다는 것을 안타까워(慨嘆)하는 장면에서는 :“황 5 제의 정통을 일으키고자 하는 이때,오로지 재상과 장군의 임명만이 있구나! 재상과 장군의 임명만이 있구나!(欲興聖統,唯在擇任將相哉,唯在擇任將相 哉!)”라고 말했다.이런 류의 반복된 구의 감탄은 사람을 극도로 감동시킨 다. 3.사마상여(司馬相如)의 “부(賦)”는 어떠한 특색이 있는가? 사마상여(司馬相如)의 부(賦)는 《시경(詩經)》의 송(頌)과 《초사(楚辭)》 의 포진(鋪陳),순부(荀賦)의 영물(詠物),송왕(宋王),가의부(賈誼賦)의 서정 특색을 계승하여 대부(大賦)의 체계를 창조하였고,한부(漢賦)가 전성기로 진입하게 하였다.그 외 현존하는 작품은 《자허상림(子虛上林)》,《애이세 (哀二世)》,《대인(大人)》,《장문(長門)》,《미인(美人)》 등 5편이 있다. 사마상여 부(賦)의 중요한 특색은 다음과 같다. 1)웅대한 구조(성)와 기백 사마상여는 학식이 해박하고 상상이 풍부했다.예를 들어 《자허상림부(子 虛上林賦)》중에서 초(楚)의 사자(使子)자허(子虛)가 초왕(楚王)의 사냥터 운몽(云夢)을 칭송하고,조유 선생(鳥有先生)이 제왕(齊王)이 사냥하는 성대 한 광경을 칭찬하여 “운몽같은 8,9개를 삼키어도 가슴속에 조금도 걸림이 없다.(呑若云夢者八九于胸中曾不蔕芥)”고 하였다.
'중어중국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기 상상력 충분히 발휘와 문장의 배치구조 고려 (0) | 2020.09.01 |
---|---|
안자소초의 감동적 예술적 매력 (0) | 2020.09.01 |
고시십구수 동한 후기 무명씨 오언시 (0) | 2020.09.01 |
시경 작품의 성질과 악조 그리고 토속 가요 (0) | 2020.09.01 |
망시공 천자 상림원 수사능력 발휘 (0) | 2020.09.01 |